본문 바로가기
자전거

전기자전거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 – 구매 전에 꼭 알아야 할 5가지

by won1904 2025. 5. 7.


전기자전거 입문자를 위한 가이드 – 구매 전에 꼭 알아야 할 5가지

자전거를 하이브리드, 로드, MTB 이렇게 바 끄면서 타다가 어느 날 나이가 먹어가면서 힘이 부치기 시작했어요.

그러다 보 전기자전거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. 직접 구매하고 몇 년간 사용해 본 경험을 바탕으로, 전기자전거 입문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실질적인 팁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


1. PAS 방식? 스로틀 방식? - 먼저 개념부터 잡자

전기자전거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.

  • PAS(Pedal Assist System): 페달을 밟을 때 전기모터가 도와주는 방식(면허 불필)
  • 스로틀(Throttle): 오토바이처럼 손으로 가속하는 방식( 원동기 or 운전면허 필요 )

입문자에게는 PAS 방식이 더 추천됩니다. 운동도 되고, 배터리도 오래갑니다.

단, 스로틀 방식은 언덕길이나 체력이 부족한 분에게 더 편할 수 있어요.


2. 전기자전거의 핵심은 배터리다

배터리 용량은 곧 주행 거리와 직결됩니다.

  • 36V 10Ah 기준: 보통 30~40km
  • 48V 20Ah 기준: 최대 70~100km도 가능

배터리 탈착형인지, 교체가 쉬운지, 충전 시간은 몇 시간인지 꼭 확인하세요. 저는 48V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델을 선택했는데, 하루 왕복 출퇴근(약 50km)도 넉넉히 가능합니다.

※ 참고로 안장형 배터리는 무게 중심과 효율이 떨어져 비추천드립니다.


3. 어떤 모델을 고를까? – 실사용 목적에 맞추기

저는 처음에 디자인만 보고 구매할 뻔했어요. 하지만 직접 써보니 용도에 맞는 모델을 고르는 게 핵심입니다.

  • 출퇴근용: 가벼운 미니벨로 or 접이식 전기자전거
  • 배달/장거리용: 튼튼한 MTB 스타일, 대용량 배터리
  • 여행/여가용: 안장 편하고, 서스펜션 있는 모델

브랜드는 가성비 위주로 전기 자전거를 선택했는데, 처음산건 삼천리 자전거라서 A/S문제는 확식이 가까워서 조았는데 배터리가 36V 10Ah 장거리가 문제 있어서 바 껐는데 48V 20Ah 자전거 A/S 하려면 왕복 70Km 가야 돼서 불편하고 점점 더 좋은 자전거가 나오니 다른 걸 사고 싶은데 좀 무리가 되더라고 검증된 제품 꼭 시승하고 몇 번 더 확인하고 구입하세요.

결론은, 검증된 모델을 시승해보고, A/S 위치까지 꼭 확인하고 구입하세요.


4. KC 인증, A/S, 가격 – 사기 전에 꼭 확인할 점

  • KC 인증: 보험 적용, 리콜 대응 등을 위해 필수입니다. 직구·중고 제품은 인증 확인 어려움.
  • A/S: 배터리·모터 고장 시 수리 가능한지, 가까운 서비스망이 있는지 반드시 체크.
  • 가격대: 70만 원~150만 원대. 너무 저렴한 제품은 내구성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.

※ 당근마켓 등 중고 구매도 괜찮지만, A/S 여부는 꼭 판매자에게 확인하세요.


5. 직접 써보니 좋은 점과 아쉬운 점

  • 좋은 점: 언덕길이 정말 편해졌고, 땀을 덜 흘리니 출근용으로 좋아요.
  • 아쉬운 점: 무게가 일반 자전거보다 무겁고, 배터리 충전을 자주 신경 써야 합니다.

또 한 가지 팁! 방수커버, 헬멧, 야간 라이트는 필수입니다. 사고 예방에 꼭 필요해요.


마무리 – 전기자전거, 제대로 알고 시작하자

전기자전거는 단순히 ‘편한 자전거’가 아니라, 용도에 맞게 잘 고르면 생활이 훨씬 편해지는 좋은 이동 수단입니다.

저도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고, 만족이라는 게 참 어렵내요.

혹시 궁금한 점이 있거나, 구매 고민 중이시라면 댓글로 질문 주세요.

실사용자 입장에서 솔직하게 도와드릴게요.